실시간 뉴스



"콘텐츠 제작 활성화 위해 IP 확보해야…자본투자·세제지원 필수" [IT돋보기]


'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서 국내 콘텐츠 활성화 방안 논의

[아이뉴스24 박소희 수습 기자] 국내 콘텐츠 제작 활성화를 위해 IP를 보유하고 직접 제작하는 구조로 이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가 차원에서의 자본 투자와 더불어 규제 완화·세액공제 확대 등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2일 오전 9시 30분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열린 '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에서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이 '금융시장에서 바라본 미디어·콘텐츠 산업 전망'에 대해 기조강연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2일 오전 9시 30분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열린 '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에서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이 '금융시장에서 바라본 미디어·콘텐츠 산업 전망'에 대해 기조강연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2일 오전 9시 30분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가 열렸다. '디지털 미디어·인프라 혁신'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서는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이 '금융시장에서 바라본 미디어·콘텐츠 산업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지 연구원은 "오징어게임, 기생충 등 콘텐츠와 블랙핑크 등 아이돌을 포함해 엄청난 콘텐츠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4년 동안 관련 주가는 하향세"라며 "국내 1등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을 보유한 CJ ENM의 경우도 주가가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시장에서 말하는 '리레이팅'이라는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것"이라고 말문을 뗐다.

이어 "산업은 굉장히 많이 좋아졌다. 대표적으로 넷플릭스는 우리나라에 지난 2020년 3천억원, 지난해 6천억원, 올해 1조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면서 "오징어게임이나 파친코 등이 흥행했지만 IP를 다 미국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돈은 미국이 번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익 모델을 ▲한국 방송사의 외주제작 ▲글로벌 OTT의 외주제작 ▲IP 보유 제작 총 3가지로 분류하고 'IP 확보'및 자본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 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방송사의 외주제작은 제작비의 70~80%를 방송사가 회수해 제작사들이 가장 지양하는 모델이다. 제작사가 기타 비용을 협찬·PPL(간접 광고)등으로 상쇄해야 하고 이를 감당하지 못할 경우 바로 적자를 얻는 모델이라는 것. 제작비 중 일정 비율을 보장하는 대가로 방송사에 IP의 전권을 양도하기 때문에 부가 수익 판권에 대해서는 총 이익률 기준 7% 미만의 낮은 수익률을 얻는다.

보다 개선된 모델이 글로벌 OTT의 외주제작이다. 지 연구원은 "오징어게임, 킹덤, 지금 우리 학교는 등 유명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이에 해당한다"며 "10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가면 OTT 사업자로부터 115억원을 전액 사전 투자받는다"고 설명했다. 제작사는 안정적인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첫 번째 모델과 마찬가지로 부가적인 수익을 얻기는 어렵다.

지 연구원이 강조하고자 한 것은 'IP 보유·제작 모델'이다. 그는 "직접 제작도 하고 IP도 가져가는 구조"라며 "돈을 넣으면 모두 내 것이 되기 때문에 자본력이 중요하다. 돈이 있는 대형 제작사들이 택하는 모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자본력이 있는 '스튜디오 드래곤' 같은 경우만 가능한 수준이었으나 콘텐츠가 성장하며 자본력이 부족한 제작사들도 해당 모델로 진화 중"이라고 부연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2일 오전 9시 30분 서울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열린'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 에 참석해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2일 오전 9시 30분 서울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열린'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 에 참석해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그는 "다만 수익 모델 개선에도 불구하고 콘텐츠 관련 주가가 부진하다"며 회계기준의 모호함과 제작비 증가 문제를 원인으로 내세웠다. 현재 회계기준이 18개월에서 12개월, 다시 6개월로 순차 감소하며 문제가 발생한 것. 이에 더해 콘텐츠를 포함한 무형 자산은 명확한 비용 처리 시점이 존재하지 않아 시가 추정 시 고평가를 받기 더욱 어렵다.

제작비에 대해선 "크리에이터(창작자)에 속하는 배우, PD, 작가 등의 몸값과 CG 비용이 계속 오르고 있어 제작비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리쿱'이라고 하는 회수율도 계속 낮아지는 중"이라며 "회수를 못 한다면 제작사 입장서는 해외자본에 의지할 수밖에 없어 돈 벌기가 쉬운 글로벌 OTT 외주제작의 2번 모델로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지 연구원은 IP 보유의 핵심은 '자본력'이라고 역설했다. 연간 콘텐츠 예산만 20조원에 달하는 넷플릭스 등 글로벌 CP에 대적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직접적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그는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세제 혜택을 확대하는 등 간접적 지원책도 수반돼야 한다는 의견도 더했다. 현재 국내 세액공제율은 대·중견·중소기업에 따라 각각 3·7·10%로 상이하다. 캐나다는 30~40% , 미국은 20~30%, 프랑스는 30%대, 영국·독일 등은 20%를 세액 공제해 주는 등 해외 국가와의 세액공제율 격차도 다소 크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2일 오전 9시 30분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열린 '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2일 오전 9시 30분 광화문 HJBC 세미나룸에서 열린 '2023 디지털 정책자문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박소희 기자]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을 포함해 ▲강도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 ▲정창림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 ▲최우혁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 등 과기정통부 관계자 20여명과 기조연설을 맡은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수석애널리스트 ▲장영재 KAIST 산업공학과 교수 등 전문가 4명, 정책자문단 18명이 자리했다.

박운규 차관은 기조강연 발표 이전 모두발언에서 "디지털 전환이나 생산성을 높이는 작업들을 하고 있다. 경제 전반, 사회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들을 하는 것이니 그 부분들을 장기적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소희 수습 기자(cowhe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콘텐츠 제작 활성화 위해 IP 확보해야…자본투자·세제지원 필수" [IT돋보기]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